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동작 문화유산/전통사찰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문화
  • 동작 문화유산/전통사찰

청도기 용범(13점)

세형동검용범일조(저작권-문화재청)
구 분
국가지정 문화유산
소재지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369
지정(등록일)
1986-03-14
관리자
숭실대학교 부설 한국기독교 박물관
연락처
02-820-0751

용범은 동(銅)으로 된 도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틀로서 거푸집, 주형이라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돌로 된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었다. 숭실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이 거푸집은 활석으로 만든 것으로 광복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용범은 동(銅)으로 된 도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틀로서 거푸집, 주형이라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돌로 된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었다. 숭실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이 거푸집은 활석으로 만든 것으로 광복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 세형동검용범일조(細形銅劍鎔范一組)


두 쪽을 합쳐 사용하게 되었으며, 한 쪽의 크기가 34.5㎝×7.4㎝×4㎝이다. 이 거푸집에서 만들 수 있는 동검의 길이는 33㎝이다. 많이 사용하여 돌이 까맣게 타 있고 부분적으로 떨어진 곳도 있다.


2) 세형동검·동과용범일조(細形銅劍·銅戈鎔범一組)


두 쪽으로 되어 마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 면은 세형동검을, 다른 한 면은 꺽창<동과(ㄱ자 모양의 무기)>를 주조하게 만들었다. 한 쪽의 크기는 35.5㎝×8.8㎝×4.1㎝이다. 많이 사용하여 검, 꺽창부분 모두가 까맣게 타 있다.


3) 동부·동착용범일조(銅斧·銅鑿鎔범一組)


역시 두 쪽을 마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는데 한 면은 원형날의 도끼(동부)를, 한 면은 자귀(소동부)와 끌(착) 2개를 동시에 주조하도록 만들었다. 도끼의 둥근 날에는 고리를 붙였으며, 자귀와 끌은 공구였다.


4) 동부(銅斧)·낚시바늘 용범(鎔범)


역시 두 쪽으로 되어 있는데 칼날이 부채꼴인 도끼(선형동부)를 만드는 거푸집이다. 한쪽 면 옆에다 바늘과 낚시바늘 거푸집을 만들었다. 그러나 바늘과 낚시 바늘 거푸집은 전혀 그 부위가 타 있지 않아 사용하지 않은 것 같다. 도끼는 역시 까맣게 타있다.


5) 동부용범(銅斧鎔범)


두 쪽으로 되어 있는 작은 도끼 거푸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크기는 11.93㎝×7.05㎝×2.17㎝이다. 한쪽 거푸집의 뒷면에는 쌍 낚시바늘과 외 낚시바늘 두개를 만들었다. 다른 거푸집의 뒷면에는 잔무늬거울 거푸집을 만들다 중지하였다. 세문경을 만들다 실패하고 이를 이용해 동부를 만든 듯하다. 낚시틀은 사용한 흔적이 없다.


6) 동부·동착용범(銅斧·銅鑿鎔범)


역시 두쪽으로 되어 있는데 한면은 자귀를, 한면은 끌 2개를 만들었다. 끌 거푸집 양쪽에는 바늘 거푸집을 한 개씩 붙여 만들었다.


7) 동모·동검용범(銅牟·銅劍鎔범)


한 쪽만 있다. 한 면은 투겁창(동모), 다른 면은 세형동검 거푸집을 만들었다. 크기는 20.2㎝×7.45㎝×2.43㎝이다.


8) 동사·동검용범(銅사·銅劍鎔범)


한 면에 세형동검을, 다른 한 면에는 청동창(동사)과 침 거푸집을 만든 것인데 깨진 파편으로 많이 사용했다. 

 - 출처 : 문화재청 -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369

지하철 7호선 숭실대입구역 4번 출구
  • 청도기 용범(13점) 관련사진 1 세형동검용범일조(저작권-문화재청)
  • 청도기 용범(13점) 관련사진 2 동부,동착용범일조(저작권-문화재청)
  • 청도기 용범(13점) 관련사진 3 용범일괄(저작권-문화재청)
  • 청도기 용범(13점) 관련사진 4 동부, 낚시바늘(저작권-문화재청)
  • 청도기 용범(13점) 관련사진 5 동과용범일조(저작권-문화재청)
자료관리담당
문화정책과 문화시설팀 / 02-820-2946
최종업데이트
2024년 07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