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

동작구

전체메뉴 닫기
본문 시작

지명유래

  • 홈
  • 분야별정보
  • 문화/관광/체육
  • 역사
  • 지명유래
  • 노량진동

노량진동

노량진((鷺梁津, 노들나루)이란 이름은 백로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으로, 조선시대에 지금의 용산에서 수원 방면으로 가려면 노들나루를 이용하였는데 이곳에 도성을 지키기 위하여 '노량진'이 설치되어 마을 이름을 노량진이라 부르게 되었다.

동작구의 각 동이 표시된 지도 이미지(신대방동, 대방동, 노량진동(현재위치), 상도동, 흑석동, 사당동)

가볼만한 곳

노량진수산시장 노량진 수산시장
용양봉저정 용양봉저정

독막(점말)

노량진 2동 45∼46번지 일대, 지금의 동작구청 자리의 마을이름으로 일면 동이점이라고도 하였다. 옛날 옹기를 굽던 가마가 2군에 있어 떡시루, 독 등을 제작하여 노들나루를 이용해서 시내로 반입되었고, 지금의 강남 일대 주민들과 과천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1950년 대 말까지 있었으나 그 후 대림산업 중장비 정비공장이 들어섰다가 지금의 동작구청이 지어졌다.

송학대

송학대현재 삼거리시장 못미쳐 장승배기 좌우편, 노량진 2동 311∼315번지 일대의 마을이름으로 수백년 묵은 소나무 가 많았으며 이 소나무에는 학이 서식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몇 그루의 소나무가 남아 있으며, 일제 때는 일본인 고관들이 이 지역의 경관에 반해 많이 살았으며 한국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였다고 한다. 현재 이 지명을 딴 송학대교회가 부근에 있다.

아차고개

  • 아차고개 도로 사진 사육신묘 마루터기에 있는 고개이름이다. 이 고개는 조선 세조 때 영등포 이남에 살던 어떤 선비가 사육신을 처형함이 부당함을 간(諫)하기 위하여 도성을 향하여 말을 달려 오다가 이 고개에 이르렀을 때 육신이 이미 새남터에서 처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아차! 늦었구나'하고 한탄하던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 또 다른 유래는 조선 명종 때 이름난 점술가인 홍계관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날 자기의 명을 점쳐 보니, 모년 모월 모일에 횡사하는 점괘가 나왔다. 살아날 길을 찾아보니 딱 한 방법으로 용상(龍床)아래 숨어 있으면 횡사를 면한다고 하는지라, 홍계관은 왕에게 아뢰어 승낙을 받고, 날짜에 맞춰 용상아래 숨어있었다. 그때 때마침 쥐 한 마리가 마당을 질러가고 있어 이를 본 왕이 홍계관에게 '지금 마당에 쥐가 지나가는데 몇 마리인지 점을 쳐 보아라.'하고 명하였다. 그가 곧 점을 쳐보고 말하기를 세 마리라 하였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노하여 형관을 시켜 홍계관의 목을 베라고 하였다. 형장에 당도하여 다시 점을 쳐보니 '만일 한 식경만 기다 리면 살 길이 있겠다'하는 점괘가 나왔다. 홍계관이 형관에게 조금만 형 집행을 늦추어 달라고 간청하므로 형관이 허락하여 잠시 기다리고 있었다. 계관을 형장 으로 보낸 후 왕은 측근을 시켜 그 쥐를 잡아 배를 갈라 보니 뱃속에 새끼 두 마리가 있었다. 홍계관의 신묘한 점에 놀란 왕은 곧바로 신하를 형장으로 보내어 계관의 참형을 중지하라고 하였다. 이에 신하가 급히 달려가 보니 막 형을 집행하는 순간이었다. 크게 소리질러 중지 하라고 하였으나 형관의 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할 수 없이 손을 흔들어 중지하라고 하였지만 형관은 사형 집행을 빨리하라는 줄로 알고 홍계관을 참(斬)하고 말 았다. 신하가 되돌아와 왕에게 자초지종을 말하니 왕은 '아차'하고 매우 슬퍼하였다고 한다. 이때부터 그 형장 이 있던 이 고개를 아차고개라 불렀다는 것이다.

장승배기

  • 장승백이 사진동작구 상도2동 영도시장 맞은편 삼거리의 노량진 파출소와 한빛은행 상도지점 앞을 장승배기라고 부른다.
    행정구역상 현재 장승이 서있는 위치는 노량진2동에 속한다.
    이곳은 노량진동과 상도동·대방동이 접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는 노량진 선창으로 가는 길목이었다.
  • 서울 시민들 중에는 상도동의 위치는 잘 몰라도 장승배기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그 명칭이 널리 알려졌다. 그것은 아마도 그 유명한 대방 장승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은 사라져가는 민속신앙 중의 하나이지만 예전에는 동네 어귀나 사찰 입구에서 어김없이 찾아볼 수 있었던 것이 장승이다. 장승은 경계의 표시이기도 했지만 이(里)수를 적어 10리나 15리마다 세워둠으로써 이정표역할을 했으며, 특히 악귀를 막는 수호신이기도 했다.
  • 흔히 장승이 서 있는 곳을 장승배기라 하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이런 이름이 남아있다. 장승배기에서는 마을의 공동문제, 즉 부락제나 기타 여러가지 일을 의논했다. 그러던 것이 마을 이름으로 되어 전해온 것으로 이곳에 장승을 세우게 된 내력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조선 중기 사도세자가 부왕에 의해 뒤주 속에 갇혀 비통하게 죽은 뒤 그의 아들 정조가 1777년 왕위에 오르자 아버지 사도세자를 한시도 잊지 못했다. 그래서 정조는 화산(지금의 수원)에 있는 아버지 묘소, 곧 현륭원에 참배 다니는 것을 잊지 않았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추우나 더우나 찾아가 아버지 무덤 앞에 무릎꿇고 그 애통한 한을 달래며 명복을 빌었다.
  • 지금은 현대식 건물과 주택들이 들어서 있지만 당시 장승배기 일대는 낮에도 맹수가 나타날 것만 같은 울창한 나무숲이었다. 현륭원으로 가는 정조의 어가는 이곳에서 한번쯤 쉬어가야 했으나 아름드리 나무숲이 우거진 이 지점에서 쉬기란 적적하기가 이를 데 없었다. 비라도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면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로 인가가 없고 통행인마저 시오리 가야 한두 사람 만날까 말까 할 정도로 한적한 곳이었다. 이에 정조는 "이곳에 장승을 만들어 세워라. 하나는 장사 모양을 한 남상 장승을 세워 천하대장군이라 이름을 붙이고 또 하나는 여상을 한 지하여장군으로 하여라."하고 명하였다. 어명으로 장승배기에는 곧 두 개의 높다란 장승이 세워지게 되었다. 이는 왕이 안심하고 행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이때부터 이곳은 '장승배기'라는 지명이 붙게 되었고 정조는 아버지의 묘소를 참배하러 가는 길 오는 길에 이 장승 앞에서 어가를 멈추고 쉬었다는 것이다.
  • 한편 장승을 소재로 한 판소리와 서도창에 보면 이곳 장승의 이름이 팔도장승의 최고 우두머리인 대방 장승이었고 또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고 있다. '가루지기전'은 변강쇠가 엄동설한에 땔것이 없어 나무를 하러 길가에 세워 놓은 장승을 패가지고 오는 것을 풍자적으로 엮은 것으로, 변강쇠한테 도끼로 찍혀 부서진 장승이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것이 멋스럽다.
  • 본래 장승이란 마을로 들어오는 동구 밖에서 병액의 귀신을 물리쳐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촌락공동체의 수호신 이요 경계표지였다. 이제 장승의 신앙적 의미는 미약해졌으나 다만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적 풍물로 부활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자료관리담당
문화정책과   - / 02-820-9356
최종업데이트
2022년 07월 01일